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준별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6학년 ‘기초’ 수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Leveled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 Focusing on a 6th grade “basic” level program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영(Jiyeong Kim) 백정이(Jeongyi Baik) 박준홍(Junhong Park)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3호, 89~11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구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수준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중 ‘기초’ 수준 프로그램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수준을 ‘기초 미달’, ‘기초’, ‘보통 이상’으로 구분하여 모듈형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개발하였다. 이후 충청북도 소재 초등학교에 ‘기초’ 수준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관찰 일지, 면담 전사 자료, 학습 결과물 등을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프로그램 적용 결과, 교사에게는 ‘발표 기회 제공에 대한 인식 변화’와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구체적 지도 필요성 인식’이 나타났으며, 학생에게는 ‘발표에 대한 자신감 및 참여도 제고’, ‘의사소통 활동에 대한 흥미 및 동기 유발’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 및 보완점을 토대로 구어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적용 대상을 확대하여 장기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교육적 맥락에서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도 함께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evel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the oral communication skills of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basic” level program when appli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Method: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were categorized into “below basic,” “basic,” and “above averag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a modular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e “basic” level program was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in Chungcheongbuk-do, and observation logs, interview transcripts, and student work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 The results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showed that teachers recogniz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providing presentation opportunities and acknowledged the need for more explicit guidance on communication behaviors. Students exhibited increased 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n presentations, along with heightened interest and motivation in communi- cation activities. Conclusion: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refine the oral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observed effects and limitations, expand its application to a broader range of students, and evaluate its long-term effectiveness. Furthermore, continued research is recommended to explore practical applications in diverse educational contexts.

목차

1. 서론
2. 수준별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3.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및 그 시사점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영(Jiyeong Kim),백정이(Jeongyi Baik),박준홍(Junhong Park). (2025).수준별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6학년 ‘기초’ 수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 89-119

MLA

김지영(Jiyeong Kim),백정이(Jeongyi Baik),박준홍(Junhong Park). "수준별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6학년 ‘기초’ 수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25): 89-11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