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환단고기를 통해서 본 열 개의 부여와 부여 천 년의 역사

이용수 0

영문명
The ten branches of Buyeo and the millennium history of Buyeo as interpreted through Hwandangogi
발행기관
세계환단학회
저자명
윤창열(Chang-Yeol Yun)
간행물 정보
『세계환단학회지』12권 1호, 3~3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시부여는 초대 단군이 넷째 아들 부여를 봉한 땅으로 이것이 최초의 부여이고, 위치는 지금의 길림성 농안 장춘 일대이다. 이 부여라는 명칭은 이후 모든 부여명칭의 근원이 된다. BCE 425년 단군조선의 44대 구물 단군은 우화충의 반란을 평정하고 장당경아사달에 도읍하여 대부여로 국호를 바꾸었는데, 이것이 단군조선의 제3왕조이다. 47대 고열가 단군이 제위를 버리고 떠나는 BCE 238년까지 188년간 지속되었고, 장당경은 지금의 요령성 개원이다. 대부여라고 국호를 쓴 이유는 수도를 비록 옮기지만 이전 수도 백악산아사달이 부여에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계승한다는 의미가 있다. 부여사의 실질적인 시작은 북부여이다. BCE 239년 해모수에 의해 건국되었고 해부루가 가섭원으로 쫓겨가는 BCE 86년까지 154년간 지속되었으며, 백악산아사달이 있었던 농안 장춘지역이 중심지였다. 한무제가 위만왕조를 멸망시키고 북부여를 침략하자 동명왕 고두막한이 의병을 일으켜 한나라 군사를 격퇴하였다. 이에 BCE 108년 졸본 땅에서 임금의 자리에 오르고 BCE 86년 북부여의 5대 임금인 해부루를 가섭원으로 추방하고 북부여의 정통을 계승하였다. 고무서 단군을 거쳐 고주몽이 BCE 58년 제위에 올라 BCE 37년 고구려로 국호를 바꾸니 이 때까지의 부여를 동명부여 졸본부여 또는 후기북부여라고 부른다. 동명부여의 고두막한의 힘에 밀려 북부여의 5대 임금 해부루가 BCE 86년 가섭원으로 이주하니 이곳은 흑룡강성 통하현이고 이를 동부여라고 부른다. 동부여는 이후 금와왕, 대소왕을 거쳐 CE 22년 고구려 대무신 열제에게 망할 때까지 역년이 108년이었다. CE 22년 동부여가 멸망할 당시 금와왕의 막내아들이 압록곡에서 해두왕을 죽이고 갈사수 가에 나라를 세웠는데 이를 갈사부여 또는 북갈사라고 한다. 갈사수는 우수리강 유역으로 추정되며 CE 68년까지 3대에 걸쳐 47년간 지속되었다. CE 68년 북갈사의 3대왕 도두왕이 고구려에 항복하자 고구려에서 혼춘을 식읍으로 주고 그를 동부여후에 봉해 주었는데 이를 남갈사라고 부른다. 410년 광개토열제는 동부여를 정벌했는데, 이 동부여는 혼춘에 봉해졌던 동부여후의 후손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보면 동부여후의 역년은 343년이 된다. 서부여는 CE 22년 동부여가 멸망할 때 고구려는 대소왕의 4촌 동생을 개원 서북에 있는 연나부에 봉해주었다. 이후 서부여(연나부부여)는 대릉하 상류로 이동하여 중국과 고구려 사이에서 나라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CE 285년 모용외에게 격파되어 나라가 거의 멸망직전까지 이르렀고 그 후 다시 회복하여 나라를 유지하다가 CE 494년 고구려에 병합되었으니 총 역년이 473년이 된다. 두막루국은 410년 광개토태왕에 의해 멸망한 남갈사의 유민들이 송화강 하류를 건너 그 북쪽에 세운 나라로 추정된다. 726년 대진국과 흑수말갈에 의해 나라가 양분되어 멸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부여는 백제의 26대 성왕이 538년 웅진에서 사비로 수도를 옮기면서 일시적으로 사용되었고 성왕 사후 다시 백제로 복구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rimitive Buyeo referred to the land granted by the first Dangun to his fourth son, Buyeo. Located in the present-day Nong’an Changchun region, it became the origin of all subsequent names bearing the Buyeo. Great Buyeo (425–238 BCE) was established during the third royal dynasty of Dangun Joseon and had its capital at Jangdanggyeong Asadal, which corresponds to present-day Kaiyuan in Liaoning Province. The substantive beginning of Buyeo history is generally traced to Northern Buyeo. It was founded by Hae Mosu (239–58 BCE), and was named for its location north of Great Buyeo. Its capital was established in the Baekaksan Asadal region, corresponding to present-day Nong’an Changchun region. Dongmyeong Buyeo (also known as Jolbon Buyeo, 108–86 BCE) was founded by King Go Dumak, who defeated the invasion of Emperor Wu of Han. In 86 BCE, he expelled the descendants of Hae Mosu and succeeded Northern Buyeo, which was referred to as Later Northern Buyeo. It continued to exist until Go Jumong founded Goguryeo. Eastern Buyeo (86 BCE–22 CE) was founded by Hae Buru, who had been expelled by King Go Dumak, and established its capital in Tonghe County, Heilongjiang Province. North Galsa (22–68 CE) was established by the youngest son of King Geumwa in the region along the Ussuri River. South Galsa (68–410 CE) emerged in 68 CE, when King Dodu, the third ruler of North Galsa, was installed in Hunchun as the Lord of Eastern Buyeo after he surrendered to Goguryeo. West Buyeo (Yeonnabu Buyeo, 22–494 CE) emerged in 22 CE, when a fourth cousin of Daeso surrendered and was subsequently installed in the Yeonnabu region, which later developed into an independent state. Dumaeklu-guk (410–526 CE) was a state established in the north of the Songhua River by the remnants of South Galsa after its destruction by King Gwanggaeto the Great. South Buyeo (538–554 CE) was a temporary name used by King Seong of Baekje when he relocated the capital from Ungjin to Sabi in 538 CE.

목차

Ⅰ. 서론
Ⅱ. 열 개의 부여
Ⅲ. 부여사의 왜곡과 역사교과서에 기술된 부여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창열(Chang-Yeol Yun). (2025).환단고기를 통해서 본 열 개의 부여와 부여 천 년의 역사. 세계환단학회지, 12 (1), 3-35

MLA

윤창열(Chang-Yeol Yun). "환단고기를 통해서 본 열 개의 부여와 부여 천 년의 역사." 세계환단학회지, 12.1(2025): 3-3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