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limate Change Trends in South Korea Using ETCCDI Indic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하성철(Sung Chul Ha) 김병식(Byung Sik Kim) 이두호(Doo Ho Lee) 이병현(Byung Hyun Lee) 김영준(Young J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1, 161~17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국문 초록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래 기후 추세를 이해하는 것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1970년대 연간 약 10회 발생하던 극한호우의 빈도가 2000년대에는 약 20회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또한, 동아시아 전역에서 이상기후 현상의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한 재산과 인명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상기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 변화의 정도를 정량화하고 빈도와 강도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기상기구에서 기후변화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제시한 ETCCDI 지수를 사용하여 남한의 미래 기후변화 추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국 단위의 분석을 위하여 ASOS 95개 지점과 주요 도시 10개 지점을 선정하였고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유지된다고 가정하에 SSP5-8.5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2100년까지 시간적 변화에 따른 남한 지역의 이상기후 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increasing frequency and intensity of anormaly weather due to climate change have gathered global interest in future climate trends. In Korea, extreme heavy rainfall events, about 10 times occur annually in the 1970s, doubled to over 20 by the 2000s. Similarly, extreme climate events have risen across East Asia, causing serious damage to property and lives. Quantification and analysis of extreme weather frequency and intensity are essential to prepare to these events. This study employed ETCCDI climate indices, developed by the WMO, to evaluate climate change in Korea. Observational data from 95 ASOS stations and 10 major cit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extreme climate phenomena by the time change until 2100 in South Korea using the SSP5-8.5 scenario. The study evaluated how extreme weather events, particularly heavy rainfall, are expected to evolve due to climate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및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