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ual Mediating Effects of the Career Readi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Perform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ollege Life Adjustment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성심(Sungsim Lee) 유아미(Ami You) 윤옥희(Okhee Yun)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2호, 297~3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진로준비도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문대와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214명이며,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Process Macro 모델 6을 이용해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자기주도학습역량, 진로준비도,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진로준비도의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진로준비도의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성장 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역량, 진로준비도가 직접 및 간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read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indset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study population was 214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community colleges and four-year universities, and the dual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6.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career readin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we teste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read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ird, the full dual mediation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readines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evidence that growth mindset,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readiness ar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useful in helping college students to college life adjustment, thus providing a basis f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counseling to enhance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