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he Meaning of Work on Quiet Quitting among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준수(Junsu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2호, 241~26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특별자치도 내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공기관에 근무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 450명을 단순 무작위 표집 방법으로 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여 435명의 응답을 SPSS 26.0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조용한 사직이 증가하였다. 둘째, 일의 의미를 자아실현으로 인식할수록 조용한 사직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일의 의미를 생계유지의 목적으로 인식할수록 조용한 사직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조용한 사직 예방을 위한 스트레스 대처 방법과 긍정적 일의 의미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he meaning of work on quiet quitting among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450 personal assistants working at disability activity support service institutions in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selected through a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and 435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job stres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levels of quiet quitting. Second, when the meaning of work was perceived as self-actualization, quiet quitting tended to decrease. Third, perceiving the meaning of work primarily as a means of livelihood was found to increase quiet quitting.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oposed to prevent quiet quitting among personal assistants by providi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enhancing positive perceptions of the meaning of work.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