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Regarding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Curriculum and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류영규(Youngkyu Ryu) 박한숙(Hansook Park)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4호, 131~1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담임교사들이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통합교과서를 어떻게 이해하고 수업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제대로 안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1, 2학년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통합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인 ‘지금-여기-우리 삶’에 대해 교사들은 상반된 견해를 보였다. 둘째, 주제 개발권의 현장 이양으로 인한 교육과정 자율성의 확대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모듈형 통합교과서의 구조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있었다. 넷째,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 신체 활동 강화로 인해 교사들은 신체 활동 공간 부족에 대한 부담과 놀이 수업 교육내용의 수준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에게 주체적인 자율성을 부여한 ‘배움 지도’ 방식은 저학년 학생들에게 실제 적용에서 어려움으로 인한 한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에게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자료와 체계적인 학교 현장 맞춤형 지원으로 교사와 학생들의 부담과 현장의 혼동을 줄여주는 일이라고 본다. 따라서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지속적인 심도있는 논의와 구체적인 통합교과 수업지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ensu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Curriculum by examining how lower-grade homeroom teachers understand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heir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st and 2nd grade homeroom teachers who have been implement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key findings on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wed mixed opinions about the curriculum’s focus on “the here-and-now of our lives.” Second, the increased curriculum autonomy due to the delegation of theme development to schools has imposed a significant burden on teachers. Third, the modular structure of the integrated textbooks has caused confusio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Fourth, the emphasis on physical activities in the revised curriculum has led to difficulties for teachers, particularly due to the burden of managing physical activities and the challenging level of play content. Lastly, the “learning guidance” approach, which grants students greater autonomy, has shown limitations when applied to lower-grad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providing teachers with specific, practical resources and tailored school support is crucial to alleviating confusion and burden in the field. Thus, ongoing in-depth discussions and concrete support that reflect the voices of the educational field are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Curriculum.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및 통합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