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ace-building Process for Syria State-building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김은비(Eunb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1호, 59~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2024년 12월, 이슬람 수니파 반군 조직인 ‘하이아트 타르리르 알샴’(HTS)의 승전으로 13년에 걸친 시리아 내전이 종식되고 알아사드 대통령이 축출되었다. 이에 맞추어 우리나라 역시 유엔 회원국 중 마지막 미수교국으로 남아있던 시리아와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하는 등 국제사회는 내전 종식을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그러나 HTS의 지도자 아흐메드 알샤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리아 국가건설의 미래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분쟁후 국가건설에는 분쟁의 원인을 해결하고, 평화 정착을 위해 장기적인 안목에서 사회적, 경제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평화구축’ 이 적용되어야 한다. 평화구축을 위해서는 기존 무장조직의 무장해제, 소집해제, 재통합(DDR)을 통한 국가의 무력 독점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는 주변국들의 정치/외교적, 경제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시리아는 과도정부 수립 이후 무장해제, 소집해제(D&D)에 많은 성과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시리아를 놓고 벌어지고 있는 이스라엘과 튀르키예의 지정학적 경쟁은 시리아의 평화구축을 어렵게 하고 있다. 미국 등 서방 국가의 제재 해제 등의 정책적 지원과 주변 국가의 경제적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영문 초록
The Syrian civil war ended in December 2024 with the victory of Hay’at Tahrir al-Sham (HTS) and the removal of President Assa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lcomed the peace, and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Syria. However, serious concerns remain about rebuilding under HTS leader Ahmad al-Shara. Sustainable recovery requires more than regime change—it demands disarmament, reintegration of former fighters, and strong institutions. Although initial steps have been taken, regional tensions, especially between Israel and Türkiye, threaten stability. Coordinated international support, including easing sanctions and providing targeted economic aid, is essential to support peace-building and ensure long-term stability in post-war Syri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시리아 내전의 장기화
Ⅳ. 시리아의 평화구축 과정 평가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