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an Evaluation Model for VR-Based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Conten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재민(Jae Min Lee) 이슬기(Seul Ki Lee)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3호, 37~4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건설업은 산업재해 사망사고율이 높은 분야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VR(Virtual Reality)기술을 활용한 몰입형 안전교육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위험 요소를 실감나게 체험하며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교육도구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안전교육을 위한 VR 콘텐츠는 대부분 법적요건 충족을 목적으로 제작되어, 교육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거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평가체계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용 VR 안전교육콘텐츠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을 제안하고, 그 초기 타당성을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다. 커크패트릭 교육평가모델을 기반으로 정보시스템 성공모델(ISSM), 기술수용모델(TAM), 닐슨의 사용성 평가기준을 반영하여 평가요소를 구성하고, 건축공학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두 기관의 VR 안전교육콘텐츠를 비교평가하였다. 분석결과, B기관 콘텐츠의 학습 효과 평균(4.10점)이 A기관(2.60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 = 0.008), 이는 조작 편의성, 정보 유효성, 유용성, 용이성 등의 품질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본 연구는 실무자가 아닌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실제 현장 적용성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다양한 연령대 및 직종을 포함한 확장 연구를 통해 평가모형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고, 실무 맞춤형 VR 안전교육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one of the highest fatal accident rates, with many incidents caused by workers’ negligence and lack of hazard awareness. In response, immersive Virtual Reality (VR) education has emerged as a promising tool for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offering simulated high-risk scenarios. However, most existing VR contents focus on legal compliance and lack systematic frameworks for assess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content quality. This study proposes a VR content evaluation model tailored to construction site safety training and conducts an exploratory validation of its applicability. The model is grounded in Kirkpatrick’s four-level training evaluation and incorporates elements from the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ISS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Nielsen’s usability heuristics. A compar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30 architectural engineering students using VR contents from two institutions. T-test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iveness (p = 0.008), with Institution B’s content (M = 4.10) outperforming Institution A’s (M = 2.60). Influential factors included ease of operation, information quality, usefulness, and usability. These results support the proposed model as a valid tool for evaluating VR safety training content. While this study was limited to students,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construction professionals across roles and age groups to enhance generalizability. The model may guide both objective evaluation and practical enhancement of VR-based training programs tailored to specific field condi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건설현장 VR 안전교육콘텐츠 평가모델 제안
Ⅳ. 평가모델의 탐색적 검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