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ing of Attitud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성은(Sung Eun J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849~85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태도의 의미, 구조,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 교육 방안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 분석과 교육과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태도의 개념, 구조, 구성요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문헌 분석방안을 활용하였고,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태도 관련 내용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태도와 관련된도덕 교육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태도 관련 내용 요소는 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부정적인 태도 개선과 관련된 요소도 추가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덕 수업에서는 태도의 구조를 고려하여 학생의 현재태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한 후,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함이 드러났다.
결론 태도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 요인별로 긍정적인 태도 함양과 부정적인 태도 감소를 위한도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structure, and components of attitude and derive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employed literature analysis and curriculum analysis methods. Literature analysis was used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concept, structure, and components of attitudes, while the 2022 revised moral edu 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in detail to identify elements related to attitudes. Based on these analyses, educa tional strategies for fostering desirable attitudes in moral education were propos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primarily presents attitude-re lated elements in a way that emphasizes positive attitudes, while there is a need to include elements related to improving negative attitudes. Additionally, in moral education classes, it is important to first identify students' cur rent attitudes in detail,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attitudes, and then guide them in forming appropriate attitudes.
Conclusions Moral education should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of attitudes, ensuring that each component contributes to fostering positive attitudes and reducing negative ones.
목차
Ⅰ. 서론
Ⅱ. 태도의 의미와 구성요소
Ⅲ. 태도의 초등 도덕 교육적 함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