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Repertoire Classes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Achievement Among Modern Dance Majors at Arts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소영(So Young Yang) 이해준(Hae Ju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527~53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레퍼토리 작품 수업이 무용수행능력과 무용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 및 서울 지역의 현대무용 전공 고등학생 4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레퍼토리 작품 수업을 8회에 걸쳐 참여하였으며, 모든 참여자는 사전-사후 검사 설문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단 간 사전동질성 검사를 위한 독립표본 t-검정과 사후시점에서의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한 독립표본 t-검정, 그리고 각 집단 내 변화 분석을위한 대응표본 t-검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집단은 무용수행능력(수행자신감, 수행집중, 수행성취)과 무용성취(이해능력성취, 실기능력성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 평균값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동일 검사지로 사전 및 사후 검사를실시하였으며, 두 시점 모두에서 신뢰도(Cronbach's α)를 제시하였다.
결론 레퍼토리 작품 수업이 무용수행능력과 무용성취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해준다. 후속 연구에서는 작품 적용 기간과 공연 관련요소를 고려한 분석이 필요하며, 예술 교육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관계를 탐구하는 연구가 지속되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성취를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repertoire classes o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ach ievement of arts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modern dance. By focusing on key performance factors, the research seek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the educational value of repertoire-based learning in dance.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from the Gyeonggi and Seoul region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 = 20) or a control group (n = 20).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eight sessions of repertory-based dance instruction. All participants completed both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using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To examine baseline equivalence between groups,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t the post-test stage were also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ithin-group changes from pre- to post-test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s t-test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ance performance abilities— including performance confidence,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as well as in dance achievement measures, specifically comprehension and practical skill acquisition. Moreover, the post-test mean scores of the ex perimental group were substantial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same measurement instrument was administered at both time points,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confirmed by reporting Cronbach’s α co efficients at each stage.
Conclus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effectiveness of repertoire classes in enhancing both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achievement.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repertoire-based education into dance curricula to maximize student potential.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the influence of repertoire application dura tion and performance-related element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arts education’s multifaceted impact on dance maj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