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Non-Suicide Self-Injury i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정(Yoon-Jeong Kim) 김윤희(Yun-hee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69~8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에 재학 중인 중학생 남녀 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스트레스, 비자살적 자해, 반추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반추가 정적상관을 보였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반추가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비자살적 자해와 반추의 관계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비자살적자해와의 관계에서 반추의 부분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반추의 하위요인별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우울반추만이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개입 시 대인관계스트레스와 함께 인지적 정서조절 요인인 반추도 고려할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ediating role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non-suicidal self-harm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interpersonal stress, non-suicidal self-harm, and rumina tion among 293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2.0 to verify the media ting effect.
Results First, interpersonal stress and rumin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interpersonal stress and non-suicidal self-har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dditionally, interpersonal stress and rumin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uicidal self-harm and rumination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role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non-suicidal self-harm was confirmed.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subfactor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non-suicidal self-harm, it was confirmed that only depressive rumination mediates.
Conclusions TBased on these results, the need to consider rumination, 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actor, along with interpersonal stress when intervening in non-suicidal self-harm in adolescents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