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nduring Relevance of the Poet Laureate of the Confederacy: Antinationalistic and Antiwar Themes in the Civil War Poetry of Henry Timrod
이용수 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 저자명
- 폴 튝스베리(Paul Tewkesbury)
- 간행물 정보
- 『영미연구』제64집, 93~11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비공식적으로 “남부 연합의 계관시인”으로 알려진 헨리 팀로드(Henry Timrod, 1828-67)는 일반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작가는 아니나 19세기 미국 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남북전쟁이 시작된 1861년의 작품 「민족의 탄생」(“Ethnogenesis”) 부터 애수어린 분위기의 1866년 작 「송가」(“Ode”)에 이르기까지 팀로드의 남북 전쟁에 관한 시 작품들은 남부 연합의 흥망성쇠를 추적하고 있으며, 그의 선동적인 초기작들은 연방 탈퇴와 노예제도 찬성을 기치로 하는 남부 연합의 국가적인 이데올로기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하지만 팀로드의 1861년에서 1866년 사이의 작품들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그가 가졌던 국가주의적인 열정이 심오한 환멸로 변화되는 과정이 드러나며 초기에 남부 연합이 내건 기치를 열렬히 지지했던 팀로드가 종국에는 평화를 지지하는 입장으로 선회하게 되는 관점의 변화를 보여준다. 본 논문은, 비록 팀로드가 남북전쟁에 대한 남부 연합의 정당성을 낭만적으로 포장한 “잃어버린 대의”(Lost Cause)와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들이 역사적인 맥락을 초월하여 위대한 반전소설인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1929년 작 『서부전선 이상없다』와 같이 현대의 독자들에게 국가주의의 위험성과 전쟁의 허무함을 상기시키고 있음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Henry Timrod (1828-67), known informally as the “Poet Laureate of the Confederacy,” is a largely unknown yet significant figure in nineteenth-century American literature. Timrod’s Civil War poems, from the celebratory “Ethnogenesis” of 1861 to the elegiac “Ode” of 1866, trace the Confederacy’s rise and fall, and his earliest, most propagandistic works give insight into the nationalistic ideology of the pro-secession, pro-slavery South. Yet when Timrod’s poems from the period between 1861 and 1866 are read together in their totality, they also reveal the poet’s evolving perspective—from nationalistic fervor to profound disillusion. Initially an ardent supporter of the Southern cause, Timrod eventually takes a pro-peace stance. Despite Timrod’s postwar association with a Lost Cause mythology that romanticizes the South’s role in the Civil War, this essay argues that Timrod’s poetry, like the great 1929 antiwar novel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by Erich Maria Remarque, transcends its historical context and reminds modern readers of the dangers of nationalism and the futility of war.
목차
Ⅰ. Introduction: The Complicated Legacy of Henry Timrod
Ⅱ. Foremost Literary Propagandist of the Confederacy
Ⅲ. Hardcore Nationalism in Timrod’s Military Recruitment Poems
Ⅳ. Timrod’s Brush with War and Its Effects on His Poetry
Ⅴ. Toward a Universal Poetry of Grief and Peace
Ⅵ. Requiem for the War Dead
Ⅶ. Conclusion: Timrod’s Messag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Southern Studie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the South
- The South Carolina Review
- The Southern Literary Journal
- Dubliners
- Poems
- The Collected Poems of Henry Timrod: A Variorum Edition
- The Gilder Lehrman Institute of American Hist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