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Self-Efficacy in Art Learning according to Extended Planned Behavior Theory : The Controlling Effect of Interest in Art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수정(Soo Jeong Kwon) 조희경(Hee Kyung Cho)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2號, 87~11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중학생 194명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가 미술 학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미술관심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했다. 연구 결과, 학생의 미술 활동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행동 통제는 미술 학습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주관적 규범의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미술 관심도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미술학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 중학생의 미술 학습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긍정적 태도 함양과 통제감증진 노력과 함께, 학생의 미술 관심도 수준을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적 접근이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verify the effect of 194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self-efficacy in art learn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rt interest in this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attitudes toward art activitie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in art learning, but the direct influence of subjective norms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art interest was found to significantly control the effect of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on self-efficacy in art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elf-efficacy in art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approach that considers the level of students' interest in art is important along with efforts to cultivate positive attitudes and improve a sense of contr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