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137Cs According to topography and nature of the soil around Yeong-Gwang NPPs
- 발행기관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 저자명
- 한상준 이경진 김희근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2 No.4, 271~27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원전이 위치한 지역의 토양에서 137Cs의 축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전이 위치한 영광군 관내의 평지와 고산지대인 금정산, 불갑산 및 영광원전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내장산 등을 대상으로 토양중 137Cs의 화학적인 특성과 고도에 따른 137Cs의 축적 경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국내 토양 중 137Cs의 농도는 불검출~252 Bq/kg-dry의 범위 내에 있으며 본 연구에서 측정한 평지부분과 고산지대인 원전으로부터 2 km 떨어진 금정산, 약 20 km 떨어진 불갑산 및 원거리에 위치한 내장산에서도 지금까지의 137Cs 농도 범위에 들었다. 그러나 고산지대는 평지에서와는 다르게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137Cs 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정상 부분이 하부 부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영광원전 인근 일반평지부분보다는 137Cs의 농도는 2~6배 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137Cs의 분포는 지형적 요인(고도) 및 토양의 화학적 요인(양이온치환용량)과 상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적 요인으로는 주로 고도를 들 수가 있는데 높은 고도의 산의 경우 대기 중 137Cs이 토양에 침투되는 기회가 커짐으로 동일한 토질 조건의 평지 토양에 비해 높은 137Cs 준위를 나타내었다. 토양의 화학적 요인으로는 양이온 치환 용량이 주요 인자임이 규명되었다. 양이온 치환 용량은 침적된 137Cs을 토양에 고정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며 같은 지형조건에서는 높은 양이온치환용량을 가진 시료가 낮은 양이온 치환 용량을 가진 토양에 비해 137Cs 농도는 높은 값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hows our experiment i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exposure tendency of 137Cs according to the height of area and also, to supplement it by considering chemical characters of 137Cs exposed to the soil. The samples we use for this experiment are from the general flat area of Yeonggwang county where it has NPPs, the high places of Keumjung & Bulgap mountains, and Naejan mountain where it is quite far from the NPPs. The data from this experiment show that the exposure of 137Cs is not harmful since its range is around 252 Bq/kg-dry in most of sampled soils such as from the general flat area, the high place of Keumjung mountain where is 2 km away from the NPPs, the other high place of Bulgap mountain where is about 20 km away from the NPPs, and Naejan mountain where it is far from the NPPs. Not like the general flat area, however, the data show that the higher the area is the more 137Cs is exposed. That is, at the top of mountains, the more 137Cs is exposed compared to at the bottom area. It is almost 2 6 times more than the general flat area of Yeonggwang county where it has NPPs. The data also show that the spread of 137Cs is deeply related to the geographical(the height of area, rainfall, etc..) factors and chemical factors of soils. As the geographical factors, there are far more chances to be exposed of 137Cs at the high area of mountains through the air compared to at lower area and therefore, we can get more high-leveled readings of 137Cs at the high area while it is low-leveled ones at the general flat area even if both of them have the same soil conditions. Regarding the chemical factors of soil, it is clarified that the CEC is the key factor. The CEC means the capability of sticking 137Cs accumulated into the soil. Hence, the more CEC it has the more high-leveled readings of 137Cs we get under the same geographical condi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