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narrative transportation effects of temple cuisine programs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이혜정(Hye-Jung Lee) 최환석(Hwansuk Chris Choi) 이호영(Ho Young Lee) 정철(Chul Jeong)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9권 제4호, 159~18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순차적 설명 혼합방법론을 적용하여 내러티브 트랜스포테이션이 사찰음식 배우기 체험에서 감각적, 지적, 행동적 체험과 체험 애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사찰음식은 불교 철학과 한국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독창적인 미식 체험으로, 내러티브 트랜스포테이션이 체험 몰입과 긍정적 행동 변화를 어떻게 촉진하는지 탐구하였다. 양적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내러티브 트랜스포테이션과 체험 차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PLS-SEM을 사용하여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질적 연구는 인터뷰를 통해 양적 결과를 보완하며, 참여자들의 심리적·정서적 변화를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 트랜스포테이션은 감각적 및 행동적 체험에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감각적체험은 체험 애정 형성에 가장 큰 기여를 하였다. 반면, 지적 체험은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을 보였지만 철학적·문화적이해를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체험 애정은 재참여 의도와 체험지지 행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통해 사찰음식 배우기 체험이 감각적·행동적 몰입을 통해 긍정적 태도와 장기적 애착을 형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사찰음식 배우기 체험 프로그램의 내러티브 설계를 강화하고 글로벌 관광객을 대상으로 확장하기 위한 실무적 전략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narrative transportation on sensory, intellectual, and behavioral experiences, as well as brand love, in the context of learning temple cuisine. Temple cuisine, root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provides a unique gastronomic experience, making it an ideal setting to explore the role of narrative transportation. A sequential explanatory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quantitative phase utilized a survey and PLS-SEM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narrative transportation and experiential dimensions. The qualitative phase involved interviews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findings and offer deeper insights into participant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ransforma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narrative transpor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sensory and behavioral experiences, with sensory experience contributing the most to brand love.
Intellectual experience had a relatively weaker impact but played a critical role in enhancing philosophic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Brand love, in turn, strongly affected both future participation intentions and advocacy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ing temple cuisine fosters positive attitudes and long-term attachment through sensory and behavioral engage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temple cuisine as a wellness and sustainable tourism product. Practical strategies are proposed to enhance the narrative design of temple cuisine programs and expand their appeal to global touris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연구 2 - 정성적 연구 분석결과
Ⅵ.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관광연구
- 불교학보
- 아태연구
- 관광학연구
- 한국외식산업지
- 관광학연구
- 한국불교학회지
- 한국생활과학회지
- 한국언론학보
- MICE 관광연구 (구 컨벤션연구)
- 사회과학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지역산업연구
- 대한경영학회지
- 비교민속학
- 동아시아불교문화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관광연구
- 한국외식경영연구
- 보조사상
- 한국외식산업학회지
- 한국조리학회지
- 지역과문화
- 관광학연구
- 한국조리학회지
- 사찰음식 정기심포지움
- 한국외식산업학회지
- 한국조리학회지
- 서비스마케팅저널
- 관광학연구
- 외식경영연구
- 무역연구
- 외식경영연구
- 한국경영공학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