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quisition of Cultural Hegemony in Online Sharing Platforms and Restructuring of the Music Industry Field : Focused on the Global Pop-Star ‘Justin Bieber’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김기창(Kee-Chang Kim) 김선영(Sun-Young Kim) 이의신(Eui-shin Yi)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3호, 431~469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과 장(場) 이론을 이론적 분석틀로 활용하여 저스틴 비버 사례를 통해 온라인 공유 플랫폼에서 시작된 문화적 헤게모니의 형성과 확장 과정을 분석하였다. 내용분석 방법을 기반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버의 초기 문화자본은 비제도적 정통성, 디지털 가시성, 정서적 진정성, 세대적 연결성이라는 특성을 가졌으며, 이것이 음악산업 장에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전략적 중개자의 역할,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프로모션, 제도적 인정을 통한 정당화라는 메커니즘이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비버는 발굴 경로의 다원화, 정당성 부여 방식의 변화, 수익 모델의 다변화, 미디어 환경과의 관계 재편 등 음악산업의 기존 규칙과 권력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비버의 위기와 재기 과정은 디지털 시대 문화자본의 취약성과 복원력을 동시에 보여주었으며, 그의 헤게모니 구축은 여러 플랫폼을 가로지르는 통합적 전략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 문화자본이 여전히 기존 산업 구조와의 접속과 전환이 중요하다는 점, 문화산업의 가치 창출 모델이 다변화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디지털 환경에서 문화적 영향력 구축을 위해서는 다양한 플랫폼과 채널을 가로지르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Justin Bieber's case to analyze how cultural hegemony forms through online platforms, using Bourdieu's theor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Bieber's initial cultural capital was characterized by non-institutional legitimacy, digital visibility, emotional authenticity, and generational connectivity. His recognition in the music industry required strategic intermediaries, hybrid online-offline promotion, and institutional legitimization. Bieber symbolically represents fundamental changes in the music industry including diversified discovery pathways, altered legitimization processes, multiple revenue streams, and restructured media relationships. His career trajectory demonstrates both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of digital cultural capital. The research concludes that digital cultural capital still requires connection to traditional industry structures, cultural industry value models are diversifying, and building cultural influence in digital environments necessitates an integrated multi-platform approa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