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elf-assessment of Public Design in Local Governments : Focusing on the 11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buk-do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주학곤(Hak Gon Joo) 윤명한(Myung Han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768~783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 요소로서 공공디자인 정책의 의미와 의의를 다각적으로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자체의 공공디자인 수준을 자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자체평가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었다.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평가지표, 지표 구성체계, 채점방법 등을 도출하였으며 4개의 평가 분야를 수립하고, 총 17개의 평가지표를 하위 지표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자체평가 지표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총 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FGI를 실시하였다. 최종 선정된 자체평가 지표는 충청북도 11개 시-군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 평가 결과, 충북 11개 시-군 중 충주시, 제천시, 진천군, 청주시 순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충북 11개 시·군의 공공디자인 강점과 약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평가지표를 활용한 계획 수립 및 지자체 계획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public design policy in enhancing urban competitiveness and to develop an effective self-assessment system for local governments. First, evaluation indicators, an index composition system, and a scoring method we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ur evaluation fields and a total of 17 evaluation indicators were established. These indicators were refined through two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eight experts to ensure objectivity. The finalized self-assessment indicators were then applied to evaluate 11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buk-do. The results ranked Chungju-si, Jecheon-si, Jincheon-gun, and Cheongju-si in that order. This study confirm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public design in these local governments, and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utilization plans for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reflecting them in local government plans.
목차
1. 서론
2. 지방자치단체의 자체평가 정책 검토
3. 공공디자인과 공공디자인 평가의 이해
4. 지방자치단체 공공디자인 자체평가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