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House Interior Design in the Song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윤영철(Young Chul Yoon) 백소훈(So Hoon Baek)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695~70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영조법식(營造法式)와 다른 여러 그림 작품들에 의하면, 송나라 시대의 집들은 목재 들어올림 수평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천장, 바닥, 벽, 파티션, 문 그리고 창문으로 구성된 인테리어 장식 시스템을 발전시켰습니다. 고급 집들은 높고 크게 지은 화려(華麗)한 전당(殿堂) 구조를 채택하여 두공(斗栱)과 천장의 장식적 요소들을 인테리어 디자인 개념으로 두었으며, 반면 일반 집들은 TingTang 구조를 채택하여 천장이 없는 수평구조의 구조적 미를 들어내는데에 중심을 두었습니다. 전면의 격자무늬의 문과 창문은 풍부한 장식된 내부 입면을 만들었고, 칸막이와 병풍에는 붓글씨(서예)나 그림 작품등이 부착되어 있어 소유주의 우아한 취향을 만족시켰습니다. 또한 침대, 침상, 의자, 책상, 병풍 그리고 장롱과 같은 다양한 가구들은 각 복도와 방에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YiangZaoFaShi (營造法式) and several painting works, the houses in the Song Dynasty, based on the lifting beam wood structure, have developed interior decoration system which composed of sealing, floor, wall, partition, door and window. A Luxury house adopted DianTang (殿堂) structure put its interior design concept on the decoration feature of Dougong 斗栱 and sealing, but a common house adopted TingTang (廳堂) structure stressed on revealing the structural aesthetics of its beam structure without sealing. The lattice doors and windows in the front made a richly ornamented inner facade, and the partitions and screens attache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on them satisfied owner's elegant taste. And Various furnitures like bed, couch, chair, desk, screen and cabinet were placed in each hall and room.
목차
1. 서론
2. 실내설계 요소
3.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