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D-PBL Model for Design Education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경아(Kyung ah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445~4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과 사용자 중심 사고를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일방향 교수법의 한계를 드러내며, 구조화된 학습과 자기주도적 탐색이 가능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의 핵심 원리를 문제 기반 학습(PBL) 구조에 통합한 D-PBL(Design 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학습 프로세스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미래 가능성을 검토한다. D-PBL은 문제 재구성, 공감, 아이디어 발산과 수렴, 프로토타이핑, 비판적 성찰의 다섯 단계로 구성되며, 구성적 정렬(ILO-TLA-AT)과 CCCS 원칙을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인다. '디자인적 사고 방법론'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 디지털 협업 역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D-PBL은 전통적 PBL의 강점을 유지하면서, 디자인 교육의 특수성과 디지털 전환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여 창의적 문제 해결 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the Design 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D-PBL) model to foster creative problem-solving and user-centered thinking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Digital technologies have revealed limitations of traditional lecture-based methods, highlighting the need for structured learning and self-directed exploration. The D-PBL model integrates core design thinking principles—reframing, empathy,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prototyping, and reflection—into a five-stage process using Constructive Alignment and CCCS principles. Implemented in a “Design Thinking Methodology” course, students explored problems, refined solutions through multi-layered feedback, and collaborated using digital tools. Results demonstrate improvements in creative thinking and digital collaboration skills, confirming the model's effectiveness as a design education framework.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주요 개념
3. 디자인 교육을 위한 PBL 모델 개발
4. D-PBL 적용 수업 사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