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Urban Brand Design : Focusing on Urban Brand Logo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육혁우(Yi Yu Lu)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378~391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글로벌화와 정보 전달이 극속화되는 시대에서 도시브랜드 이미지는 도시의 문화적 특성과 종합적 경쟁력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성공적인 브랜드 디자인은 도시의 인지도와 국제적 영향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대중의 인식을 형성하고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도 될 수 있다. 미학은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핵심 요소로서, 형식미학, 분위기미학, 상징미학, 생태미학, 현상학미학 등 여러 차원을 포함하여 시각적 표현, 문화적 표현 및 사회적 정체성 구축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미학적 관점에서 도시브랜드 로고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미학 이론이 시각 언어와 문화적 내포의 구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사례 분석 연구방법을 통하여 뉴욕, 암스테르담, 멜버른 3개 국제 대표적인 도시브랜드 로고를 사례로 선정하여 그 미학적 특성과 전파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도시가 글로벌 환경에서 문화적 표현을 기반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있어 미학의 역할 메커니즘을 고찰하여, 이론과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며, 동시에 디자이너에게 새로운 미적 사고방식과 전략적 혁신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rapid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city brand image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to highlight the city'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Successful brand design can not only enhance the city's popularity and international influence, but also become the key to shaping public cognition and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Aesthetics, as the core element of city brand design, includes multiple dimensions such as formal aesthetics, atmospheric aesthetics, symbolic aesthetics, ecological aesthetics, phenomenological aesthetics, etc., which are of great value to the construction of visual expression, cultural expression and social ident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design of city brand logos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and explores how aesthetic theory affects the construction of visual language and cultural connot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selects three international representative city brand logos of New York, Amsterdam and Melbourne as cases to analyze their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effec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ole of aesthetics in shaping brand image based on cultural expression in a global environment, aiming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anc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designers with new aesthetic thinking and strategic innovation.
목차
1. 서론
2. 도시브랜드의 구축
3. 도시브랜드 디자인 미학의 구축
4. 도시브랜드 사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