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User Experience Evaluation of Online Museum Virtual Tours Using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 Focusing on the Case of China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포좌문(Zuo Wen Bao) 구자준(Ja Joon Koo)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348~367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박물관 가상 투어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는 새로운 문화 체험 방식으로 부상시켰다. 본 연구는 다기준 의사결정 이론에 기반하여 온라인 박물관 가상 투어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프레임워크는 ‘몰입적 진정성’, ‘인터랙션 경험’, ‘정보 유도성’, ‘교육적 효과’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통해 각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중국 내 대표 온라인 박물관을 대상으로 일반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TOPSIS기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 집단은 ‘정보 유도성’을 가장 핵심적인 요인으로 평가하였으며, 반면, ‘교육적 효과’는 전문가 평가에서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였고, 실제 사용자 평가에서도 낮은 만족도를 기록하였다. 이는 현재 시스템에서 교육 콘텐츠의 구성 및 전달이 충분하지 않음을 반영하며, 향후 설계 단계에서 교육적 요소의 통합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positioned virtual museum tours as a new form of cultural experience that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s user experience in online museum virtual tour systems based on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theory. The evaluation framework consists of four dimensions: immersive authenticity, interaction experience, information inducemen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Using the AHP method, experts assess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 User data from representative online museums in China were then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TOPSIS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that experts considered “information inducement” the most critical factor, while “educational effectiveness” received the lowest importance in expert evaluations and the lowest satisfaction in user assessments. This reflects the insufficient integration and delivery of educational content in current systems and suggests the need for its strategic incorporation in future desig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실증 연구
4. 실증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