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mart home interaction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Xiaomi” product famil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주우흔(YUXIN ZHOU) 전언연(YANRAN QIAN) 정의태(Euitay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2(통권 35권), 262~275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령자의 인지 능력 특성을 기반으로 스마트홈 제품의 인터랙션 디자인 문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헌 고찰, 사례 분석 및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정보 과다, 비직관적 조작, 피드백 부족 등의 문제가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스마트홈 제품은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고령자의 인지 변화 및 사용 습관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인지 부담이 크고 조작 장벽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브랜드 간 비교 및 실증적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가독성 향상, 절차 간소화, 다중 피드백 적용, 긴급 상황 대응 체계의 최적화 등의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궁극적으로 스마트홈 디자인은 고령 사용자의 인지 적응성과 정서적 배려를 중심에 두고 설계되어야 하며, 이는 고령친화적 기술 발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interaction design issues in smart home products based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lderly users, and proposes strategies for improve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user interviews, problems such as information overload, non-intuitive operations, and lack of feedback were identified. Although smart home products offer increased convenience,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cognitive decline and behavioral habits among older adults results in significant usability barriers and cognitive load.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across brands and empirical data, the study suggests concrete design strategies: improving interface readability, simplifying operational flows, integrating multimodal feedback mechanisms, and optimizing emergency response systems. Ultimately, smart home design should prioritize cognitive adaptability and emotional support for elderly user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ruly age-friendly technolog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사례 분석
4. 설문 조사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