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ng and Evaluating Each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 in Continuous Runoff Simul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윤석(Yun Seok Choi) 최시중(Si Jung Choi)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3호, 199~20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적 분포형 유출 모형인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연속형 유출 모의에 사용되는 잠재증발산 산정식에 따른 잠재증발산 및 유출 모의결과를 서로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유출 모형을 보정하지 않고, GRM 모형에서 제시하는 매개변수의 기본값을 이용하여 유출을 모의하였다. 4개 댐 유역을 대상으로 4개의 잠재증발산 산정 방법(Blaney-Criddle (BC), FAO Penman-Monteith (FPM), Hargreaves (HRGV), Priestley-Taylor (PT))을 적용하였다. 잠재증발산 산정 방법에 따라 모의된 잠재증발산은 최대 약 25%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유역에 따라 최대 및 최소 잠재증발산이 모의된 방법은 달라졌다. 이러한 현상은 잠재증발산 산정 방법별로 사용하는 기상자료가 다르고,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기상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모의된 댐 유입량을 관측값과 비교하였을 때 증발산 산정 방법별로 각기 다른 오차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어떤 유역에 증발산을 산정할 때는 대상 유역에 적합한 잠재증발산 산정 방법을 사전에 검토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simulation results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nd runoff according to each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quation utilized for continuous runoff simulation using the Grid-based rainfall-Runoff Model (GRM), a physically based distributed runoff model. Runoff was simulated using the default parameter values suggested by the GRM model without calibration. Four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s (Blaney-Criddle [BC], FAO Penman-Monteith [FPM], Hargreaves [HRGV], and Priestley-Taylor [PT]) were applied to the four dam basins. According to the estimation methods, the simulated PET differed by up to approximately 25%, and the methods for simulating the maximum and minimum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basin. This phenomenon occurred because the meteorological data employed for each method differ and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vary by region. Additionally, when the simulated dam inflow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values, each evapotranspiration calculation method exhibited different error characteristics. Therefore, when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in a watershed, reviewing and applying a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target watershed in advance is necessary.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및 강우-유출 모형
3. 대상 유역 및 적용 자료
4. 모의결과 평가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