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정(Hyunjung Kim) 최웅용(Woongyong Cho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1호, 1043~105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63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7.0와 Process Macro V4.2 Model 4를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자기통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통제는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통제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대학생이 취업스트레스로 자기통제가 저하되는 상황에서는 주관적 안녕감도 함께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통제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and a total of 263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PROCESS Macro Version 4.2 Model 4.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job-seeking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university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Second, job-seeking stress negatively influenced self-control. Third, self-control exhibite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Fourth, self-control was identifi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situations where self-control is reduced due to job-seeking stress,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may also decli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self-control in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