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multi-cultura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봉환(BongHwa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1호, 427~43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다문화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의 6차년도(2023년) 고등학생 2,224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도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 수용도 간의 관계에서 친구관계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가 다문화수용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더불어 친밀한 친구관계 유지가 다문화수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친구관계를 고려한 중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Methods The data of 2,224 high school students data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6th year(2023) of the 2018 were analyzed. we conducted analyses including mea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parental attitude and friendship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friend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tested.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 and support that take into account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s are needed as a way to increase teenagers' multi-cultural accept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