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Respons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as a Difficult Histor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해영(Hae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1호, 293~3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일본군‘위안부’를 가르칠 때 예상되는 어려움과 이를 대처하기 위한 수업 매뉴얼을 작성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어려운 역사를 다룬 문헌을 검토하여 교사가 가르치기 어려워하는 요인을 찾았다. 이후 충남 소재 대학의 예비교사 30명에게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강의를 듣고 관련 서적을 읽도록 한 후, 수업 방안을 모색하고 예상되는 어려움을 작성하게 하였다.
결과 예비교사는 자신의 성장 과정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어린’ 학생들이 정신적 충격을 받지 않도록 수업 방안을 고민하였다. 감정의 과잉을 경계하기 위해 역사자료를 활용한 탐구 과정을 거쳐 객관적으로 사건을 이해하도록 하고, 윤리적 성찰을 통해 피해자의 입장을 고려하는 수업을 구상하였다.
결론 예비교사가 제안한 수업 방법과 어려운 역사를 다룬 문헌을 토대로, 안전한 수업 환경 조성, 역사 탐구 과정, 실천 방안을 포함한 수업 매뉴얼을 제작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nticipated challenges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y face when teaching about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and to provide a teaching manual to address these difficulties.
Methods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 on teaching difficult histories to identify factors that make it challenging for teachers to address such topics. Additionally, 30 preservice teachers from a university in Chungnam were asked to develop lesson plans after attending a lecture o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and reading related books. They documented the anticipated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subject.
Results Preservice teachers carefully designed lesson plans to prevent young students from experiencing emotional distress. They drew from their own childhood experiences to inform their approach. To avoid excessive emotional reactions, they aim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event objectively through an inquiry-based approach using historical materials. Additionally, they planned lessons that encouraged ethical reflection to consider the perspective of the victims.
Conclusions Drawing from the lesson plans proposed by preservice teachers and the literature on teaching difficult histories, a teaching manual was developed. This manual includes strategies for creating a safe classroom environment, guiding historical inquiry, and implementing practical teaching approaches.
목차
Ⅰ. 서론
Ⅱ. 어려운 역사를 가르치기 어렵게 하는 요인
Ⅲ. 연구설계
Ⅳ. 예비교사의 일본군‘위안부’ 반응 분석
Ⅴ. 예비교사의 반응을 토대로 구성한 수업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