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hildren’s art university textbook reflecting the 2019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서연(Seoyeon M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1호, 157~1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영유아 미술 대학교재의 내용 분석을 통해 영유아 시기 미술의 교육적 중요성을 상기하고, 추후 영유아 미술 교재의 집필 방향성을 제시할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출간된 교재부터 2024년 10월까지 발행된 영유아 미술 대학교재 25권을 대상으로 구성분야(전체 구성 비율)와 내용분양(이론편, 실제편)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분류체계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한 후, 엑셀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하였으며, 실제편은 놀이 및 활동의 분류 기준과 구성체계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구성분야에서는 모든 교재의 전체 구성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이론편이 실제편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여 이론과 실제의 내용이 균형 있게 제시되어야 함을 제기한다. 둘째, 내용분야에서 각 교재의 내용이 상이한 비중으로 나타나, 각 교재에서 두드러지는 내용이나 특성이 있을 때에는 각 교재의 부제목을 제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방향을 대학교재가 반영할 것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는 영유아 미술 대학교재를 저술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recall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children’s ar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children’s art university textbook reflecting the 2019 Nuri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writing children’s art textbooks in the children.
Methods To this end, the composition field (total composition ratio) and content distribution (theoretical section, actual section) were analyzed for 25 children’s art university textbooks published by October 2024 from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2019 Nuri curriculum. Data analysis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and then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 Excel program, and the actual sec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composition system of play and activities.
Results First, it is suggested that the overall composition of all textbooks was different in the composition field, and most of the theoretical pieces accounted for a larger proportion than the actual ones, so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ents should be presented in a balanced manner. Second, when the content of each textbook appears to have a different weight in the content field, effort such as presenting the subheadings of each textbook are required, and it suggests that university textbooks reflect the direction pursued by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writing children’s art university textbook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