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s in Attitudes toward Movement Activities of Student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fore and after Attending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혜련(Haelyun Moon) 강재희(Jaihee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1호, 141~15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동작교육 수업실행을 통해 동작활동에 대한 교육대학원생의 태도 변화를 알아보고, 유아동작교육 수업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에 위치한 K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재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유아동작교육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 유아동작교육 태도 검사, 개방형 질문지, 반성적 저널을 통해 동작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질문지와 저널은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동작교육 수강 후에 자신감 평균이 상승하였다. 다양한 동작활동을 알게 되고, 이론과 실제를 연결한 경험을 하며 자신감 태도가 증진되었다. 둘째, 유아동작교육 수강 후에 편안함 평균이 상승하였다. 동작활동의 종류와 구성요소 등을 알게 되며 편안함 태도가 증진되었다. 셋째, 유아동작교육 수강 후 필요성 평균이 상승하였다. 동작교육이 전인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지하며 필요성에 대한 태도가 증진되었다. 넷째, 유아동작교육 수강 후 감정적 판단 평균이 상승하였다. 동작활동의 교수학습방법을 이해하며 동작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증진되었다. 그러나 동작교육 경험 부족, 비활동성 성향 및 내향적 성격, 인지와 정서의 분리 현상, 시간적·공간적 한계, 안전에 대한 염려, 교육적 전이의 어려움은 긍정적 인식 변화를 제한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결론 유아동작교육 수강 후 동작에 대한 태도의 평균이 상승한 것과 긍정적 인식 변화를 제한시키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였으며, 유아동작교육 수업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nges in student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titudes toward movement activitie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es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improving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5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K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After one semester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were analyzed through a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ttitude test, open-ended questionnaire, and reflective journal. For thi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rresponding sample t-verification were performed, and questionnaires and journal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s First, after taking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 their confidence increased. Second, after taking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 they felt more comfortable about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hird, after taking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 their attitude toward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improved. Fourth, after taking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 they felt more positive about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However, lack of experience in movement activities, low activity tendencies and introverted personality, separation of cognition and emotion,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concerns about safety, and difficulties in educational transfer were factors limiting positive changes in perception.
Conclusions After taking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he average of attitudes toward movement increased and the factors limiting positive perception chang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enhancing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