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mpact of ‘Be My Korea’ Digital Campaign on Tourism: Engagement and Cost-Benefit Analysis
이용수 114
- 영문명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황갑신(Gabsin Hwa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3호, 247~27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리랑TV의 ‘비 마이 코리아’ 디지털 캠페인이 한국 관광 홍보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3,077명의 설문 데이터를 비롯해 소셜 빅데이터 분석과 컴스코어 데이터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비용편익분석을 통합하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시청자 참여, 인지도, 관광 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캠페인 영상이 한국 방문에 대한 관심을 유의미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튜브에서 가장 높은 참여율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캠페인 콘텐츠가 관광 수입 증대를 견인하여 긍정적인 투자 수익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서울이 가장 많은 방문객을 끌어들이고 있으나, 본 연구는 덜 방문한 지역을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지역 간 균형 발전과 공평한 경제적 혜택을 보장하는 데 중요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전략을 통한 한국 관광 이미지 제고와 지역의 지속 가능한 개발 촉진에 필요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rirang TV’s Be My Korea digital campaign on promoting South Korean tourism. By integrating data from 3,077 participants, big data analytics, and cost-benefit analysis, the study explores how digital media influences viewer engagement, awareness, and tourism intent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campaign videos significantly increased interest in visiting Korea, with YouTube demonstrating the highest engagement rates. A cost-benefit analysis confirmed the campaign’s financial effectiveness, showing positive returns on investment through increased tourism revenue. While Seoul attracted the most visitor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moting less-visited regions to ensure balanced and equitable economic benefits. This research provides actionable insights into enhancing digital media strategies to shape Korea’s tourism image and drive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목차
1. Introduction
2. Research Background
3. Research Methodology
4. Data Analysis and Results
5.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