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s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송지혜(Ji-Hye Song)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3호,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에서 학습자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구글 학술검색을 활용하여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였으며,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따라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후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적용하여 공통된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어 학습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의 교육적 가능성과 제한점’이라는 메타 주제 아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학습의 제한점’, ‘개인 맞춤형 학습 도우미’, ‘실제적 의사소통 지원’, ‘자기표현의 증가’라는 네 가지 종합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가운데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학습의 제한점’은 나머지 종합적 주제들이 실현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결론: 생성형 인공지능은 화법, 작문, 문법, 독서, 문학교육 등 다양한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며,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육적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경험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mon patterns experienced by learners in Korean language learning using generative AI and to explore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Methods: Relevant studi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Google Scholar.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eligible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derive common themes.
Results: Under the meta-theme of “Education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Using Generative AI in Korean Language Learning,” four comprehensive themes were identified: “Limitations of Generative AI-Assisted Learning,” “Personalized Learning Assistant,” “Support for Authentic Communication,” and “Enhanced Self-Expression.” Among them, the “limitations” were interpreted as elements that may need to be considered in advance for the realization of the other themes.
Conclusion: Generative AI has the potential to support learning tailored to learners' levels and needs across various 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speaking, writing, grammar, reading, and literature. Educational considerations are necessary to ensure its effective use.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s with generative AI and serves as foundational data for exploring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한국어 학습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의 교육적 가능성과 제한점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