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ussion on read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순(Jungsoon Cho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0호, 934~945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의 책읽기 경험을 바탕으로 책읽기 동기 및 전략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총 183명을 대상으로 읽기 동기와 전략과 관련된 책읽기 경험에 대해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후 1차로 온라인 자동 전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사 작업을 하였고, 이후 면담을 담당한 연구자가 전사 내용을 검토하였다. 면담 대상의 특성 상 단답형 응답이 많아 연구자가 질문과 답변을 구분하여 구체화하는 작업을 추가로 하였다. 전사 자료는 반복하여 주제어 및 주제 중심으로 대화 내용을 구조화 하였다.
결과 초등학생들은 동일한 책을 읽은 친구들과 이야기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책을 읽다가 모르는 점이 있으면 부모님께 질문하는 경향이 있었다. 고학년이 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이 늘고 책읽는 시간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내적 동기에 의해 책을 읽는 학생들은 책 읽기를 능동적이고 지속적으로 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초등학생들의 경우 또래 집단 내 상호작용이 중요함에 따라 동일한 책을 함께 읽는 것이 효과적이며,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것 또한 책읽기를 독려하는 간접적 방법이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는 읽기 전략을 적용하여 책읽기를 학습하는 것이 해당 시기의 적절한 책읽기 방법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ad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 5, and 6 based on their reading experiences.
Methods Small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83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rades 4, 5, and 6, attending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mid-sized cities, and rural towns. The interviews focused on their reading experiences related to motivation and strategies. After the interviews, the initial transcription was carried out using an online automatic transcription program. Due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short responses, the researchers further refined the transcripts to enhance clarity.
Resul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discussing books with peers who had read the same books. When encountering unfamiliar content while reading, they tended to ask their parents for clarification. As students advanced in grade levels, their smartphone usage increased, while their reading time decreased. Students who read based on intrinsic motivation tended to engage in reading actively and consistently.
Conclusions Since peer interaction is crucia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the same books together is an effective approach. Additionally, limiting smartphone usage can serve as an indirect way to encourage reading. For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lying reading strategies to learn from books can be an appropriate reading method at this st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설계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