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Public Elementary Alternative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반원호(Wonho B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0호, 580~596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립초등대안학교 교사들의 학교선택 동기와 교육경험을 분석하여 일반학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첫째, 공립초등대안학교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둘째, 대안학교 교사들의 교육경험, 인식, 만족감과 효능감에 관한 실태를 고찰하였으며, 셋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토대로 공립초등대안학교 교사들의 동기와 교육경험을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들은 일반공립초등학교에서 행정업무, 동료교사들의 눈치와 학급의 일에 도움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초등대안학교를 의미 있는 교육활동과 동료로부터 배울 수 있는 환경을 위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초등대안학교를 선택한 교사들은 교육과 행정의 협력, 학년과 교육과정의 융합을 경험하였고 더 나은 교육을 위한 고민하고 성장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공립초등대안학교 교사들의 학교선택동기와 경험을 통해 일반학교에서의 시사점으로는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동료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학교문화, 행정업무의 경감, 교과와 학년의 통합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면, 대안교육특성화 학교 교사들의 학교선택동기와 교육경험의 비교연구 및 공립초등대안학교 학부모 및 학생들의 학교선택동기와 교육경험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motiv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public elementary alternative school teachers to choose a school and presented implications for general schools.
Methods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seven teachers of public elementary alternative schools, and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al experienc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efficacy of alternative school teachers was examin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eachers had difficulty in not receiving help from administrative work, peer teachers' attention, and class work in general public elementary schools. It was found that public elementary alternative schools were selected for meaningful educational activities and an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learn from their colleagues.Teachers who chose public elementary alternative schools experienced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and convergence of grades and curriculum, and showed a desire to think and grow for better education.
Conclusions Through the motivation and experience of public elementary alternative school teachers for school selection, school culture that recognizes fellowship and diversity based on mutual trust,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and integrated education of subjects and grades are necessary. If future research tasks are presented,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school selection motiv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teachers in alternative education-specialized schools and to investigate the school selection motiv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parents and student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공립초등대안학교 교사의 교육경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