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population education related to low birth rate and aged society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정(Soo-Jeo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0호, 232~249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인구 정책과 학교 인구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을 기준으로 2022 개정 도덕과, 사회과, 실과(기술·가정) 의 교육과정에 반영된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된 양상을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2 개정 도덕과,사회과,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내용을 분석 기준에 따라 매핑한 후 양적 분석(추진 전략별, 교과별, 학교급별 구성 비율 분석)과 질적 분석(관련 내용이 반영된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례 분석)을 병행하여 교과별 인구교육의 접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결과 2022 개정 도덕과, 사회과,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3개 전략별 구성 비율은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적응’ 관련 내용이 50.0%로 가장 높고,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사회 조성’ 32.26%, ‘모두의 역량이 고루 발휘되는 사회’ 17.74%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별 반영 비율은 실과(기술·가정)가 50%, 사회과 41.9%, 도덕과 8.06%로 나타나 교과별로 교육과정 목표나 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급별 교육과정에 반영된 비율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53.23%로 가장 높고, 중학교 교육과정 27.42%, 초등학교 교육과정 19.35% 순으로 나타나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에 반영된 비율이 가장 높아 실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국가 수준에서 인구 정책 수립 시 인구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하며, 학교 인구교육은 간학문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인구교육을 반영하기 위한 학교 인구교육 내용 체계 마련과 교수·학습 지원 등 국가 사회적 관심과 교육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population policy and school population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flection of population education compared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of morality,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studies (technology and family) based on the Fourth Basic Plan for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reflected in the 2022 moral, social, and practical (technology and family)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ere mapp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and then quantitative analysis (composition ratio analysis by promotion strategy, subject, and school level) and qualitative analysis (case analysis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ing related contents) were explored to incorporate population education by subject.
Results As a result, 50.0% of the 2022 revised moral, social, and practical (technical and family) curriculum reflected “adaptation to demographic changes,” followed by 32.26% of “creating a society that works together and takes care of together,” and 17.74% of “a society where everyone's capabilities are evenly displayed.” In addition, the percentage reflected by subject was 50% in practical (technical and family), 41.9% in social studies, and 8.06%, indicat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curriculum goals and contents. On the other hand, by school level, the percentage reflected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was the highest at 53.23%, followed by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t 27.42%,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t 19.35%, indicating that the percentage reflected in the high school elective curriculum was the highest.
Conclusions When establishing population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measures to revitalize population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school population education has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so national social interest and educational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reflect population education in the curriculum, such as preparing a school population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