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arents' Experiences with Childbirth and Parenting Policies and Thei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 Study of Families with Newborns in 2023
이용수 3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우영(Woo Young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0호, 39~5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목적 대한민국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입하면서 다양한 정책을 입안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출산율을 제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부모가 저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경험이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정성적 자료 수집 방법인 정성적 연구 인터뷰(QRI)를 적용하였다. 대한민국에서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중인 부모 6명을 중심으로 인터뷰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DPM)을 사용하여 그들의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한민국의 부모들은 출산휴가제도와 현금지원, 바우처, 의료지원 등의 출산장려정책에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있었다. 동시에 정책의 수혜자 입장에서 현 정책과 서비스의 한계를 지적하며 수정 및 보완되어야 할 부분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육아휴직 및 출산휴가의 상한액 확대와 인적자원 지원 시스템 구축, 간소화된 신청 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한민국의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책의 수혜자들의 요구에 귀 기울여 보다 면밀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outh Kore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a variety of childbirth and parenting policies, allocating significant public resources in an effort to combat the country's persistently low birth rate.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South Korea’s birth rate remains low.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parents in South Korea regarding childbirth and parenting policies,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areas for improvement.
Method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using in-depth interviews. Six parents who had recently given birth and were currently raising children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QRI)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Participants reported positive experiences with certain policies, such as the maternity leave system, cash support, vouchers, and healthcare services. However, they also identified various limitations in both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cluded extending the duration of parental and maternity leave, establishing a human resource support system, enhancing access to online parenting education, and streamlining the application process.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ing the birth rate in South Korea requires more than simply offering a wide range of policies. It is essential to tailor these policies to the actual needs of parents, ensuring detailed, accessible, and effective support for policy beneficiari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