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Patterns of Korean Initial Consonants between L1 English and L2 Korean Language : Focusing on Difficulty
이용수 235
- 영문명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명광(MyoungKwang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2호, 81~1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초성 자음 학습 순서의 원리 중 하나인 “난이도” 개념을 학습적 차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영어권 화자가 한국어 초성 자음을 배울 때 나타나는 다양한 난이도 대응 양상을 밝힌다. II장에서는 기존 이론에서 논의한 음운적 차원의 난이도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기존 논의는 크게 난이도를 보편성과 특수성에 기반한 유형론 견해, 차이점을 기반으로 한 대조분석가설,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발화습득모델 등이 있음을 말하였다. 차이점에 기반한 대조분석가설을 따르는 Prator(1967)의 견해는 L1과 L2의 다양한 변이음의 대응 관계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발화습득모델(SLM)을 따르는 Flege(1995)의 학습 난이도의 견해는 많은 연구에서 상반된 결과가 나타남으로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임을 말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상반된 결과가 첫째, 학습에 있어서 생산적 표현과 수용적 이해 발음 대응 난이도의 차이에 대한 변인에 대한 간과, 그리고 L1과 L2 대응에 있어 음소와 변이음의 다양한 양상에 대한 일반화의 결과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III장에서는 기존 이론과 필자가 제시한 주장을 토대로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초성 자음을 학습할 때 나타나는 다양한 난이도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L1과 L2의 변이음을 고려했을 때, 음소 대응에서 설정되는 난이도 단계가 음성적 측면의 대응에서는 다를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학습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표현 측면(발음 측면)에서의 단계와 이해 측면(청각 인식 측면)의 단계가 다를 수 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Correspondence difficulty” as a principle for sequencing the instruction of Korean initial consonants, and identifies various difficulty patterns exhibited by English-speaking learners learning Korean initial consonants. It critiques prior phonological perspectives on difficulty—typological universality vs. specificity,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and the speech learning model—highlighting that each has limitations for establishing stepwise difficulty levels. In particular, Prator (1967)’s contrastive analysis-based hierarchy struggles to account for the various L1-L2 allophonic correspondences, and Flege (1995)’s similarity-based view (speech learning model) remains debated due to conflicting empirical findings. These discrepancies are attributed to overlooking differences between productive expression and receptive perception in learning, as well as to overgeneralizing diverse phoneme-allophone correspondence patterns between L1 and L2. Based on these insights, the study examines the difficulty patterns that English-speaking learners exhibit when acquiring Korean initial consonants. The analysis reveals that when L1 and L2 allophones are considered, a difficulty hierarchy defined at the phonemic level may differ at the phonetic level. Furthermore, the relative difficulty order can vary between production (speaking) and perception (listening) depending on learner proficiency level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Concept of Difficulty in an Educational Context and Its Application
Ⅲ. English L1 and Korean L2 Correspondence Patterns
Ⅳ.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