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China Trade Potential and Cooperation in the Background of Regional Free Trade Agreement
- 발행기관
- 한중경제문화학회
- 저자명
- 상염걸(NianJie Shang) 장염(Yan Zhang)
- 간행물 정보
- 『한중경제문화연구』제30권, 203~21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지역 자유무역 협정 발효에 따라 한·중 간 경제통상 관계가 새로운 발전 단계로 진입하였다. 2024년을 맞아 양국 경제협력은 역사적 전환점을 지향한다. 본 연구는 한·중 무역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관세 감축 체제, 시장개방 확대 등 지역 FTA 핵심 정책이 양국 산업 생태계 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규명한다. 특히 생산망 재구축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방안, 문화적 공감대 형성 메커니즘, 글로벌 가치사슬(GVC) 강화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양국 간 협력 잠재력을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아·태 지역 경제 블록화 추세 속에서 한·중 협력 모델의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설정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entry into force of the regional free trade agreement,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have entered a new stage of development. Marking 2024,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ims for a historical turning poi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Korea- China trad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core regional FTA policies, such as tariff reduction systems and market opening, on the integration of the industrial ecosystem of the two countries from various angle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optimizing the potential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suggesting measures to advance the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the production network, mechanisms for forming a cultural consensus, and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global value chain (GVC). Through this, the final goal i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China cooperation model amid the trend of economic block diagramming in the Asia-Pacific region.
목차
Ⅰ. 서론
Ⅱ. 한·중 무역 현황
Ⅲ. 지역 자유무역 협정 하 한·중 무역의 신 기회
Ⅳ. 지역 자유무역 협정에 따른 한중 무역의 심화전략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