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Methods of Chengyu in News Reports : Focusing on Xinhuanet News in 2024
- 발행기관
- 한중경제문화학회
- 저자명
- 당영총(Yingcong Tang) 유우청(Yuqing Liu) 유려택(Lize Liu)
- 간행물 정보
- 『한중경제문화연구』제30권, 145~1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중국의 국제 경쟁력과 국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 대외 홍보의 중요성도 나타난다. 대외 홍보를 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번역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다. 번역은 대외 홍보에서 나라의 문화소프트파워를 제고하고 정확한 중국 이미지를 세우는 데 빠질 수 없는 부분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24년 신화망 한국어판 뉴스 보도 텍스트에 나온 사자성어를 연구 대상으로 중·한 병렬말뭉치를 구축함으로써 사자성어 번역에 적용된 번역 방법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냈다. 첫째, 사자성어를 번역할 때 주로 직역, 의역, 번안, 한자어 축자역+주석, 직역+주석, 첨가+직역, 생략 등 번역 방법을 채택하였다. 둘째, 역자가 앞뒤 문맥, 문장 구조, 독자입장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표현으로 번역하였다. 셋째, 번역한 내용을 분석하는 가운데 원문의 진정한 의도나 의미를 전달하는 데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에 대한 수정하는 의견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다른 뉴스 보도 텍스트 번역이나 대외 홍보 번역의 사업을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되기 바란다.
영문 초록
With the rise of China’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global stature, the importance of external communic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Among the various aspects of external communication, translation plays a particularly vital role. Translation i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enhancing the country’s cultural soft power and shaping an accurate image of China in the international arena. This study focuses on the four-character idioms(chengyu) found in the Korean-language news reports published by Xinhuanet in 2024. By constructing a Chinese-Korean parallel corpus based on these texts, the research systematically examines the translation methods applied to chengyu and arrives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various translation strategies were employed, including literal translation, free translation, adaptation, transliteration of Sino-Korean vocabulary with annotations, literal translation with annotations, addition plus literal translation, and omission. Second, translators took full account of contextual information, sentence structure, and the target readers’ perspective to produce appropriate expressions. Third, the analysis of the translated content revealed several issues in accurately conveying the original meaning and intent, and corresponding revisions were propos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useful reference for future translation projects involving news texts or external publicity material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이론적 배경
Ⅴ. 2024년 신화망 뉴스에서 나타난 사자성어 번역 방법 통계
Ⅵ. 2024년 신화망 뉴스에서 나타난 사자성어 번역 방법 분석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