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Undeclared Major Admission on Major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Initiative in Major Decision-Making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성훈(Sunghoon Kim) 우명숙(Myungsook Woo)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第95輯,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2024년 교육부가 발표한 전공자율선택제도는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한 대학생이 전공을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가 가져올 바람직한 교육적 효과 중의 하나는 학생들이 본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전공선택의 기회 확대가 흥미와 적성에 맞는 전공의 선택으로 전공만족도를 높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무전공 입학자가 전공 입학자에 비해서 전공에 더 만족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무전공 입학자가 전공결정의 주도성을 가질 때 전공만족도에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전공결정의 주도성은 대학진학시 전공의 우선적 고려와 전공선택시 적성의 우선적 고려를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Ⅱ’ 조사(2017-2022)의 자료를 활용하여 순서로짓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무전공 입학자와 전공 입학자의 2년 뒤 전공만족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둘째, 전공을 우선시하여 무전공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전공을 우선시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서 전공에 더 높은 만족도를 보여준다. 셋째, 무전공으로 입학하여 전공선택시 적성을 우선시하여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은 적성을 우선시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서 전공에 더 만족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무전공 입학제도는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데 큰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공결정의 주도성을 가진 학생들에게는 도움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함의를 도출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무전공 입학제도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정책들을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e Major Autonomy Selection Syste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24, allows university students to enter without declaring a major and later choose their major autonomously. One of the desirable educational effects expected from this system is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choose majors that align with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expanding the opportunity to choose a major leads to increased satisfaction by enabling students to select a major that suits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o this end, first, the study analyzes whether students who enter university without a declared major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jors compared to those who enter with a declared major. Second, it examines whether students who enter without a major and take initiative in choosing their major experience greater satisfaction. Initiative in major decision-making refers to prioritizing the major when applying to university and considering personal aptitude when selecting a majo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study conducts an ordered logit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Korea Employment Education PanelⅡ (KEEPII) survey (2017-2022)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satisfaction two years after university entry between students who entered with and without a declared major. Second, among students who entered without a major, those who prioritized choosing a major during university admission show higher levels of major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Third, students who entered without a major and prioritized aptitude when selecting their major do not report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not prioritize aptitud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the undeclared major admission system may not significantly increase overall major satisfaction, it could benefit students who demonstrate initiative in choosing their majors. Finally, the study discusses policy measure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undeclared major admiss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문제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