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Yeats’s Critique of Representational Violence and the Dilemmas of Cultural Nationalism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윤일환(Ilhwan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76권, 315~34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제국주의 영국은 오랜 세월 동안 아일랜드를 미성숙하고 감성적인 존재로 묘사함으로써 식민 지배를 정당화했다. 영국의 재현적 폭력에 대응하여 예이츠는 문화민족주의를 통해 민족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한다. 그는 신화와 영웅, 종교적 전통을 다시금 아일랜드인의 것으로 만들고, 이를 통해 식민 지배로 왜곡된 민족의 이미지를 바로잡고 새로운 민족적 정신을 정립하려 한다. 하지만 예이츠의 문화민족주의는 아일랜드 계층 간의 깊은 내적 갈등을 수반한다. 예술가로서 그는 창작의 자율성과 민족적 요구 사이에서 갈등하고, 앵글로-아이리시로서의 정체성으로 인해 가톨릭 민족주의자들과 아일랜드 대중과 대립한다. 1907년 『서쪽나라의 멋쟁이』 초연 당시 발생한 폭동은 이러한 충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예이츠의 문화민족주의는 영국의 제국주의와 물질주의에 대항하는 것에 효과적인 무기이지만 그 칼날은 시인 자신에게 향하게 된다. 예이츠는 가톨릭 계층과 프로테스탄트 계층, 켈트의 유산과 영국의 영향력이라는 상반된 요소들 속에서 갈등하고, 결국 그는 프로테스탄트 작가들이 주도하는 문화민족주의가 지닌 근본적인 딜레마들과 마주하게 된다.
영문 초록
For centuries, imperial Britain justified its colonial rule by portraying Ireland as an immature and overly emotional entity. In response to this representational violence, W.B. Yeats sought to reclaim Irish national identity through cultural nationalism. By reappropriating myths, heroes, and religious traditions as distinctly Irish, Yeats aimed to correct the distorted image of the nation produced under colonialism and to establish a renewed national spirit. However, his cultural nationalism was fraught with deep internal conflicts within Irish society. As an artist, Yeats struggled between creative autonomy and nationalist demands; as an Anglo-Irish Protestant, he often found himself at odds with Catholic nationalists and the Irish public. The riots that erupted during the 1907 premiere of The Playboy of the Western World symbolically illustrate these tensions. Ultimately, while Yeats’s cultural nationalism proved an effective weapon against British imperialism and materialism, its edge also turned inward. Caught between Catholic and Protestant factions, Celtic heritage and British influence, Yeats was forced to confront the fundamental dilemmas inherent in a cultural nationalism led by Protestant writ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