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Emotional Intention Value Evaluation of AI: Generated Conceptual Products and Existing Product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장자정(Zi-Jing Zhang) 조영식(Young-Sik Cho)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2호, 31~3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AI 개념 디자인과 전통 디자인이 다양한 연령대 사용자들 사이에서 감성 의향 가치를 어떻게 평가받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챗GPT(ChatGPT)를 이용해 여러 가지 의사결정 요소와 필요한 조건을 생성하고, 미드저니(MidJourney)를 통해 생성형 AI의 제품 디자인을 생성하였다. 이후 AI 디자인과 전통 디자인 제품을 무작위로 참여자에게 배분하였다. 다양한 연령대와 성별의 참여자를 모집하여 암묵적 계층분석(IAHP:Implicit Analytic Hierarchy Process)방법을 사용해 각 집단의 제품 특성에 대한 선호를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으로 생성형 AI 디자인 제품이 조금 더 선호되었으며, 특히 젊은 집단과 남성 사이에서 더 큰 매력을 보였다. 반면, 전통 디자인은 연령대가 높은 집단에서 여전히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또한, 생성형 AI 디자인은 제품 외관 향상에 뛰어난 성과를 보였고, 전통 디자인은 기능성 측면에서 더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각 연령 및 성별 집단의 디자인 선호 특성에 대한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차이는 제품 전략 수립 시 유의미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품 디자인과 시장 세분화에 중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며, 제품 개발 시 생성형 AI 기술과 전통 디자인 방법을 결합하여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킬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how generative AI conceptual design and traditional design are perceived in terms of affective intention value among users of different age groups. First, various decision-making factors and necessary conditions were generated using ChatGPT, and generative AI product designs were created through MidJourney. The AI-designed and traditionally designed products were then randomly assigned to participants. A diverse group of participants, varying in age and gender, was recruited to assess their preferences for product attributes using the IAHP(Implicit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generative AI-designed products were slightly more preferred, particularly among younger participants and male users. In contrast, traditional design maintained an advantage among older age groups. Additionally, generative AI design demonstrated outstanding performance in enhancing product aesthetics, while traditional design excelled in functionalit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each age and gender group, which can serve as a meaningful criterion when establishing product strategi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product design and market positioning, suggesting that integrating generative AI technology with traditional design approaches can effectively meet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목차
Ⅰ. 서 론
Ⅱ. 관련 이론 개요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