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Writing Content Feedback : Focusing on Intermediate Learner Writing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김혜진(Hyejin Kim) 김은정(Eunjeoung Kim)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9권 제1호, 243~2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위한 내용 피드백 지침 마련의 기초 작업으로, 한국어 교사들의 내용 피드백 현황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내용 피드백의 인식 양상과 실제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서 내용 피드백의 진단 요소로 통일성, 일관성, 완결성을 상정하고 각 요소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분석 틀로 삼았다. 한국어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내용 피드백 개념에 대한 인식 양상, 실제 양상, 어려움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글 전체 수준에서 통일성, 일관성, 완결성을 인식하였으나, 문단 내 수준에서는 각 진단 요소를 피드백 요소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진단 기준의 모호성으로 인해 객관적인 피드백 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습자 글의 의미 이해에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들에게 내용 피드백의 개념 및 기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피드백 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사점은 향후 내용 피드백 교육 및 지침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rves as a foundational step in developing feedback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diagnose their current practices in providing content feedback. The analysis focused on teachers’ perceptions and actual practices regarding content feedback using criteria such as unity, coherence, and completeness as diagnostic elements. Seven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interviewed to explore their understanding, actual application, and challenges related to content feedback.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recognized these elements at the overall text level but failed to perceive them within individual paragraphs. Additionally, teachers faced difficulties in providing objective feedback owing to ambiguous criteria and struggled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students’ writing. Based on these findings, training on the concepts and standards of content feedback and developing effective feedback tools are necessary.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tent feedback education and guideline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및 분석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