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a Multisensory Approach-Based Phonological Process Intervention on the Reading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Childcare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혜련(Hye Ryeun Lee) 김재옥(Jaeock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1, 60~75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다감각접근법에 기반한 음운변동 중재가 아동양육시설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하였다. 방법: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4학년 읽기부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음운변동(ㅎ탈락, 격음화, 구개음화)을 목표음운변동으로 설정하여 시각, 청각, 운동감각, 촉각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의 다감각접근법에 기반한 음운변동 중재를 총 16회기 실시하였고, 중재 후 3주 뒤에 유지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모든 대상자에서 중재 후 3가지 음운변동의 읽기 정반응율이 기초선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유지 효과도 확인되었다. 특히 음운변동 중재는 자소-음소 불일치 단어를 읽는 데 어려움을 겪는 대상자들에게 효과적이었다. 또한, 이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논의 및 결론: 취약계층인 아동 양육시설의 읽기부진 아동의 개인별 수준을 고려한 다감각접근법을 적용한 음운변동 중재는 읽기능력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며, 읽기부진 아동에게 개별화된 음운변동 중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학업 성공과 자립을 위한 중재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ultisensory approach based phonological process intervention on the reading skills of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living in childcare facilities. Methods: The study targeted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s 3-4) with reading difficulties residing in childcare facilities. Phonological processes (/h/-elision, aspiration, and palatalization) were selected as the intervention tar gets. A total of 16 sessions of phonological process intervention based on the multisensory approach, utilizing visual, auditory, kinesthetic, and tactile activities, were conducted. The maintenance effects were also examined three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ll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rrect reading response rates for the three phonological processes compared to the baseline after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effects were also observed. The intervention was particularly effective for participants struggling with grapheme-phoneme incongruencies. Additionally, it fostered inter est and motivation, leading to a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Conclusion: The multi sensory approach-based phonological process intervention tailored to the individual needs of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childcare facilities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on reading abilitie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ed phonological process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suggesting their potential as an effective strategy to promote academic success and independenc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