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customers' need for uniqueness on memorable temple food experiences, subjective well-being, and behavioral intentions: Moderating role of health consciousnes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정호열(Ho-Yeol Jeong) 이규민(Gyu-Min Lee)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9권 제3호, 75~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사찰음식은 고유의 역사성과 전통문화를 지닌 독특한 식문화로, 고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사찰음식을 경험한 고객의 독특성 욕구가 기억에 남는 사찰음식 경험, 주관적 웰빙,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건강의식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350명의 응답자 중 332부의 유효 표본을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 독특성 욕구는 기억에 남는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주관적 웰빙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문화적 지식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건강의식은 주관적 웰빙과 행동의도 간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는 사찰음식의 차별적 가치와 건강성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사찰음식은 전 세계적인 채식 식문화의 흐름 속에서 충분한 시장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사찰음식을 단순히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으로 접근하기보다, 채식 기반의 건강 식문화 콘텐츠로 재해석하고 확장함으로써 국내외 건강 지향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emple food is a unique culinary tradition rooted in history and culture, offering customers a distinctive experiential valu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ustomers’ need for uniqueness influences memorable temple food experiences, subjective well-being, and behavioral intentions.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health consciou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behavioral intentions. A total of 350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s with temple food experience, and 332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need for uniquene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orable temple food experiences, and subjective well-being significantly influences behavioral intentions. However, cultural knowledge did not show a significant impact on subjective well-being. Health consciousnes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se findings provid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that emphasize the differentiated value and health-related benefits of temple food. In addition, temple food aligns with the growing global trend of vegetarianism and presents strong market potential. By repositioning it as a healthy, vegetarian-oriented culinary culture rather than limiting it to traditional Korean food, businesses can effectively appeal to health-conscious consumers worldwid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