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 중국어 기본어휘의 교과서 내 활용 현황 분석

이용수 21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Usage of Basic Chinese Vocabulary in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김웅(Ung Kim)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0輯, 205~22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새로 도입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중국어 기본어휘 865개 항목이 고등학교 ‘중국어’ 과목 교과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기본어휘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별 기본어휘 비율, 범위 초과 어휘, 공통 어휘와 미수록 어휘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교과서 어휘 색인의 목록 어휘 비율은 58.8%에서 77.4%까지 다양하였으나, ‘일러두기’에 따라 기본어휘로 인정되는 낱말들까지 포함하면 모두 80% 이상이었다. 4종 이상의 교과서에 공통으로 쓰인 범위 초과 어휘는 49개였는데, 대부분은 기본어휘로 간주되는 경우였다. 7종 교과서에 공통으로 쓰인 낱말은 108개였는데, 이 가운데 1, 2급 어휘가 91.7%로 비중이 매우 높았다. 한편 미수록 어휘는 332개였으며, 그중 1급 어휘는 55개로 많지 않았다. 기본어휘 활용의 효율성 제고와 학생들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목록 어휘 활용에 관한 공통 지침의 강화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865 basic Chinese vocabulary items newly introduc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re utilized in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and to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basic vocabular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ree perspectives: the proportion of basic vocabulary in each textbook, vocabulary items exceeding the prescribed range, and common vocabulary items versus unlisted vocabulary items. The proportion of basic vocabulary items in each textbook's index ranged from 58.8% to 77.4%; however, when including words recognized as basic vocabulary according to the “Guidelines,” all textbooks exceeded 80%. There were 49 vocabulary items exceeding the prescribed range that appeared commonly in four or more textbooks, most of which were considered basic vocabulary. Among the 108 words commonly used across all seven textbooks, Level 1 and 2 vocabulary items accounted for a notably high proportion of 91.7%. Furthermore, there were 332 unlisted vocabulary items, of which only 55 were Level 1 vocabulary items, representing a relatively small proportion.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basic vocabulary utilization and reduce students' learning burde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mmon guidelines regarding the use of listed vocabulary items.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 연구
3. 연구 범위 및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웅(Ung Kim). (2025).2022 개정 교육과정 중국어 기본어휘의 교과서 내 활용 현황 분석.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205-223

MLA

김웅(Ung Kim). "2022 개정 교육과정 중국어 기본어휘의 교과서 내 활용 현황 분석."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5): 205-22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