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Mindfulnes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차보영(Bo-Young CHA) 김서영(Seo-Yeong KIM) 이아라(A-Ra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2호, 101~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상실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65세 이상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요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 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상실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마음챙김이 부분매개 하 였다. 셋째, 상실감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 유연성이 조절하였다. 넷째,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결과 매개된 조절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들이 상실감으로 인해 자살생각을 하게 되는 상황에서 마음챙김의 과정을 확인하였다. 또한 노인 의 상실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직·간접적 경로를 인지적 유연성이 모두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실경험이 있는 노인의 마음챙김을 높이고 자살사고를 낮추는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 수준을 증진시키는 방안이 중요한 개입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loss, mindfulnes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adults aged 65 nationwide.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all main variables. Second,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loss on suicidal ideation. Third, cognitive flexibility moderated the influence of loss on mindfulness. Fourth, the analysis of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confirmed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cess of mindfulness in the context of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experiencing loss. Furthermore, the findings reveal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moderates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through which loss influences suicidal ide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hancing cognitive flexibility may serve as a critical intervention strategy to promote mindfulness and reduce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lo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