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unselor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of Peer Supervis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희경(Hee-Kyung KIM) 박혜란(Hye-Ran PARK) 유순화(Soon-Hwa YOO)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2호, 45~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 현장에서 상담자들이 동료 수퍼비전에 대해 갖는 인식과 기대 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과 상담 관련 자격을 갖춘 상담 실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97개의 자료를 수정된 합의적 질 적연구(CQR-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료 수퍼비전의 정의는 대상, 목적, 방법, 내용 네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유능감 발달에 대한 기대는 전문성 발달과 상담자 개인 성장으로, 동료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동반자와 공동 치료자로, 동료와의 관계 기대 는 신뢰와 지지, 수평적 관계, 연대감, 친밀한 관계, 객관적 태도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 구는 상담자들의 인식과 기대를 바탕으로 동료 수퍼비전의 핵심 요소들을 구조화함으로 써, 향후 동료 수퍼비전의 효과적 설계와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unselor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peer supervision in the counseling field.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unseling practitioners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and relevant qualifications.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97 responses. The analysis categorized definitions of peer supervision into who, what, how, and what. Expectations for competence development were categorized into the counselo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ersonal growth. The expected roles of peers were companions and co-therapists. Expectations for relationships with peers were trust and support, horizontal relationships, solidarity, intimate relationships, and objective attitudes. This study structured key elements of peer supervision based on counselor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providing a foundation for its effective design and us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