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속가능성 인증의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인증기준과 인증보고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16

영문명
Case Study and Improvement Measures of Sustainability Assurance: Focusing on Assurance Standards and Assurance Reports
발행기관
한국세무학회
저자명
전규안(Kyu An Jeon) 박세환(Se Whan PARK) 김희영(Hee Yeong Kim)
간행물 정보
『세무와회계저널』제26권 제1호, 59~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관되고 비교가능한’ 지속가능성정보 제공을 위하여 통일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이 제정된 것처럼 ‘신뢰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정보 제공을 위하여 국제감사인증기준위원회(IAASB)는 2024년 11월 국제지속가능성인증기준(ISSA 5000)을 최종 공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회계정보와 지속가능성정보를 공시와 인증 관점 및 기준과 제도 관점에서 비교분석하고, 일관되고 비교가능한 지속가능성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통일된 공시기준이 필요한 것처럼신뢰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도 통일된 인증기준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5개 기업의 지속가능성 인증보고서 양식 사례를 비교하여 인증보고서의명칭부터 수신인, 인증기준, 인증수준, 인증범위, 인증보고서 양식 등이 모두 다양하여 비교가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고, 지속가능성 인증의 비교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인증기준, 인증수준, 인증범위, 인증보고서 양식 등을 통일할 필요가있음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증의 비교가능성 확보를 위해 인증기준을 통일하여 하나의 인증기준만을 인정하거나 동일한 인증품질(assurance quality)을 제공할 수 있는 인증기준만을 인정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인증수준과 인증범위를 일치시키고,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와 유사하게 인증보고서의 양식을 통일적으로 규정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회계정보(재무제표)의 역사를 통해 지속가능성정보의 공시와 인증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우리나라 기업의 지속가능성 인증보고서 양식 사례를 비교하여 일관되고 비교가능하며 신뢰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정보와 인증품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증기준과 인증수준, 인증범위, 인증보고서 양식 등이 통일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여, 우리나라의 지속가능성정보 인증제도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Just as a unified standard for sustainability disclosure was established to provide ‘consistent and comparable’ sustainability information, IAASB has finally announced ISSA 5000 in November 2024 to provide ‘reliable’ sustainability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compare and analyze accounting information and sustainability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disclosure and assurance and standards and systems, and suggest that unified assurance standards are necessary to provide consistent, comparable, and reliable sustainability information, just as consistent and comparable disclosure standards are necessary. In addition, we compared the cases of sustainability assurance report formats of five Korean companies and confirmed that the names of assurance reports, addressee, assurance standards, assurance levels, assurance scopes, and assurance report formats were all diverse, making comparison difficult. This paper suggests that in order to provide reliable sustainability information to investors and improve the comparability of sustainability assurance,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assurance standards, assurance level, assurance scope, and assurance report format. Specifically, in order to secure the comparability of assurance, the assurance standards should be unified so that only one assurance standards are recognized or only assurance standard that can maintain the same assurance quality should be recogniz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assurance level and assurance scope should be aligned and the format of the assurance report should be unified similar to the audit report on financial statements. This paper compares cases of sustainability assurance report formats of Korean companies to provide consistent, comparable, and reliable sustainability information,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unifying the assurance standards, assurance level, assurance scope, and assurance report format.

목차

Ⅰ. 서 론
Ⅱ. 회계정보와 지속가능성정보의 비교
Ⅲ. 지속가능성 인증보고서 사례 분석
Ⅳ. 지속가능성 인증기준과 인증보고서 관련 개선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규안(Kyu An Jeon),박세환(Se Whan PARK),김희영(Hee Yeong Kim). (2025).지속가능성 인증의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인증기준과 인증보고서를 중심으로. 세무와회계저널, 26 (1), 59-82

MLA

전규안(Kyu An Jeon),박세환(Se Whan PARK),김희영(Hee Yeong Kim). "지속가능성 인증의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인증기준과 인증보고서를 중심으로." 세무와회계저널, 26.1(2025): 59-8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