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the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of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Focusing on Tyler's Seven Types of Learning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용(Yong Cho) 정지헌(Gi-Heon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997~102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기능 수행 동사를 Tyler의 7가지 학습경험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교과 수업 설계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13개 필수 교과(국어, 도덕, 영어, 사회, 역사, 수학, 과학, 기술, 가정, 정보, 음악, 미술, 체육) 각론 문서를 중심으로 교과별 성취기준과 기능 수행 동사를 탐색하였다. 또한, 기능 수행 동사와 관련된 문헌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기능 수행 동사가 교육목표 설정과 학습 평가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기능 수행 동사가 교육과정 설계 및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는 데 미치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결과 첫째, 기능 습득 경험은 총 31개 동사로,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학습경험 유형이다. 둘째, 사고능력 계발 경험과 기능 습득 경험은 각각 6개의 교과에서 가장 많은 기능 수행 동사를 포함하고 있다. 셋째, 지식과 이해 함양 경험은 13개 동사, 감상력 함양 경험은 14개 동사로,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이는 학습경험 유형이다. 넷째, 흥미 계발 경험은 4개의 교과에서 해당하는 기능 수행 동사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첫째, 기능 수행 동사가 특정 교과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목표를 정서적 경험보다는 분석적 사고와 실질적인 수행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설정하고 있다. 셋째, 계열 교과별 기능 수행 동사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패턴이 있다. 넷째, 기능 수행 동사는 교육과정 내에서 학습 목표 설정, 교수·학습 과정 설계, 평가 기준 마련 등 다양한 교육적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yler’s seven types of learning experiences, and to explore educational strategies for effectively applying them in subject instruction.
Methods To this e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of each subject were examined based on the subject-specific documents of the 13 required subjects (Korean, Ethics, English, Social Studies, History, Mathematics, Science, Technology, Home Economics, Informatio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oles these verbs play in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evaluating learning outcomes.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for improving curriculum desig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Results Firstly, the functional acquisition experience is the most frequent learning experience type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with a total of 31 verbs. Secondly,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thinking ability and the experience of acquiring function contain the most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in 6 subjects each. Thirdly, the experience of foster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ontains 13 verbs, and the experience of fostering appreciation contains 14 verbs, which are the least frequent learning experience types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Fourthly,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interest does not contain any corresponding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in 4 subjects.
Conclusions Firstly,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can be commonly used in various subjects, not limited to specific subjects. Secondl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cuses on developing analytical thinking and practical performance skills rather than emotional experiences as learning goals. Thirdly, there is a common pattern of use in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by subject. Fourthly, skill-related performative verbs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such as setting learning goals,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nd establishing evaluation criteria within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탐색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