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Middle-Aged Adult Learners in Junior Colleg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명화(Myung-hwa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969~99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학습자들이 전문대 교육과정을 통해 경험하는 학습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중년기를 세분화된 인생 주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학습경험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Giorgi(2009)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을 실시했고, 12명의 전문대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2024년 6월 중순부터 10월 초까지 두 차례를 걸쳐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결과 본 연구결과, ‘나를 움직이게 하는 힘’, ‘새로운 시작의 험난함과 난관’, ‘한걸음, 한걸음 성장을 향한 극복의 여정’, ‘배움의 즐거움, 내면의 풍요’, ‘제2의 인생 시작과 존재가치의 증명’의 5개의 주제와 2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학습자의 전문대 학습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성인 및 평생교육 분야에서 전문대학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학문적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인생 발달 단계를 세분화하여 학습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고, 인생 주기별 교육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undamental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s among midlife adult learners enrolled in junior college education programs. By segmenting midlife into distinct life cycle stages,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s at each stage, offer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adult learners navigate their educational journeys in junior colleges.
Methods To achieve this, Giorgi’s (2009)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was employ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12 midlife adult learners enrolled in junior colleges between mid-June and early October 202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common themes and patterns in the participants' educational experiences.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five major themes: “The driving force behind learning motivation,” “Challenges and obstacles in new beginnings”, “A step-by-step journey of overcoming toward personal growth”, “The joy of learning and inner fulfillment”, and “The beginning of a second life and self-worth validation”. These themes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21 sub-themes, providing a detailed account of the challenges, motivations, and transformations experienced by midlife adult learner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s the critical role of juniorcolleges in providing tailored educational experiences for midlife learners and reexamines their function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lifelong education. Additionally, by segmenting midlife into different life cycle stages, the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age-specific learning needs and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education policies that accommodate the unique challenges and aspirations of midlife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