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xploration of the Background and Feasibility of the Concept of Teacher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원(Sue-wo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9호, 787~80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교사 교육과정 개념이 등장하게 된 교육과정 담론의 맥락을 고찰하고, 그것에 제기되는 쟁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도적·학술적 성립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교육과정 실행과 재구성 논의의 전개 과정을 분석하여 교사 교육과정 개념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으며, 국가 교육과정과의 관계 및 유사 개념들과의 비교를 통해 교사 교육과정의 개념적 특징과 차별성을 도출하였다.
결과 교사 교육과정은 단순한 실행의 차원을 넘어, 교사가 교육공동체와 함께 교육과정을 숙의하고 설계하는 실천을 포함하며, 교사 수준 교육과정 등 유사 개념과는 교육과정 주체로서의 위상과 설계의 범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결론 교사 교육과정 개념은 국가 교육과정 체계 내에서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실질화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개념으로 정립될 수 있으며, 향후 교육과정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주요 주제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iculum discourse that gave rise to the concept of teacher curriculum and explore its institutional and academic validity by analyzing the critical issues surrounding it.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reconstruction discourse to clarif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eacher curriculum, and compared it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related concepts to identify its unique characteristics.
Results The teacher curriculum emphasizes the teacher's role not merely as an executor but as a designer who deliberates and constructs the curriculum with the learning community.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concepts in terms of the teacher's status as a curriculum agent and the scope of curriculum design.
Conclusions The teacher curriculum can be established as a new dimens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system and can serve as a key topic for expanding the scope of curriculum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교사 교육과정 개념의 등장 배경
Ⅲ. 교사 교육과정 개념의 성립 가능성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